book_cover_img
지능정보융합과 미래교육 Intelligent Information Convergence and Future Education eISSN: 2951-4762

Acronym : IICFE
Frequency : Continuous Publication
Doi Prefix : 10.59482/iicfe.
Year of Launching : 2022
Publisher : Intelligent Softwar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As a research center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Korea, Jeju National University's Institute of Intelligent Software Education is committed to building an educational foundation for fost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nvergence talent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The institute is building a foundation for AI education to cultivate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s a digital competency required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researching AI education for computer non-majors and majors at the lifelong education level from infants to middle-aged adults, researching AI education for the information-deprived class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along with AI ethics research that emphasizes the positive functions of AI and minimizes its negative functions, researching AI convergence technology to solve creative and new problems by looking at trends in the field of AI.In order to systematically study the major research areas listed above and to specifically realize the purpose of the institute, we are publishing a journal under the theme of 「Intelligent Information Convergence and Future Education」.We aim to publish research that seeks to pursue more effective problem-solving methods by integrat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ed on computer science and intelligent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and research on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for future education,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foster future human resources to lead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we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al research.We look forward to receiving submissions from all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우리나라 인공지능교육의 연구거점, 제주대학교 지능소프트웨어교육연구소는 지능정보사회의 인공지능(AI)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기반 구축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본 연구소는 지능정보사회에서 갖춰야 할 디지털 소양으로써의 컴퓨팅 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한 인공지능교육 기반 구축, 유아부터 중장년층까지 평생교육 차원의 컴퓨터 비전공자 및 전공자를 위한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연구,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배려계층 대상 인공지능교육 연구, 지능정보기술의 순기능을 강조함과 동시에 역기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윤리 연구 등과 함께, 인공지능 분야의 동향을 살펴 창의적이고 새로운 문제해결을 위해 인공지능 융합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이에 본 연구소는 앞서 제시한 주요 연구 분야를 체계적으로 연구함과 동시에 연구소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고자 「지능정보융합과 미래교육」을 주제로 학술지를 발간합니다.컴퓨터과학을 중심으로 하는 지능정보기술과 다양한 분야에 지능정보를 융합하여보다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추구하고자 하는 연구, 지능정보사회를 이끌어갈 미래 인재양성을 위해 인공지능을 포함한 정보·컴퓨터교육과 미래교육을 위한 융·복합 교육 관련 연구를 게재하고 교육 연구의 질적인 향상을 이루고자 합니다.관련 분야에 계신 모든 연구자 분들의 많은 투고를 부탁드립니다.

KCI 후보
2024년 1월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KCI IF
KCI Impact Factor
Intelligent Information Convergence and Future Education Vol.4 No.16 pp.1-10 https://www.doi.org/10.59482/iicfe.2025.4.16.01
초등 정보교육에서 AI 디지털 교과서를 위한 평가 루브릭 개발 및 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valuation Rubric for AI Digital Textbooks in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이아영 서울교육대학교 초등컴퓨터교육전공 석사과정
김다슴 서울교육대학교 초등컴퓨터교육전공 석사과정
이대환 서울교육대학교 초등컴퓨터교육전공 박사과정
이영석 서울교육대학교 정보교육과 교수
Export Citation

Abstract

디지털 및 인공지능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초등 정보 교육에서도 AI 디지털교과서(AIDT)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 교과의 특성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AIDT의 효과적인 활용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적인 평가 기준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 정보과 AIDT에 대한 교육과정 기반의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 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평가 루브릭 초안을 작성한 후 FGI와 델파이 조사를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정보 교육 전문가 6인으로 구성 된 FGI를 실시하고 주제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영역의 구체성 확보, 심미성 영역의 필요성 등이 제기되었다. FGI 분 석 결과를 반영하여 루브릭 초안을 수정하였으며, 수정된 루브릭에 대한 내용의 타당성과 표현의 명확성을 검토하기 위해 21인의 델파 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 모든 항목의 CVR값이 기준값인 0.42를 상회하는 0.81에서 1.00 범위로 나타나 루브릭의 타 당성을 확보하였으며, 델파이 설문지의 신뢰도 검증 결과 크론바흐 알파 값이 0.948로 도출되어 설문 문항들의 높은 내적 일관성을 확 인하였다. 이에 따라 5개 영역(교육과정 부합성, 학생 학습 지원, 교사 수업 지원, 기타 지원 기능, 사용성 및 심미성), 32개 항목으로 구성된 루브릭을 최종 평가 기준안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 정보과 AIDT에 적용 가능한 교육과정 기반의 평가 체계를 마련했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학교 현장 및 교사 활용, AIDT 개발에 참고할 수 있는 실용적인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키워드 : 컴퓨터 교과교육,정보과 교육,AI 디지털교과서,초등교육,평가 루브릭,교육과정 기반 평가
As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ucation gains momentum, the usage of AI Digital Textbooks (AIDT) has expanded rapidly in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However, systematic evaluation criteria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ubjects and curricula are currently insufficient for effectively supporting the utilization of AIDT.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a curriculum-based evaluation rubric for elementary informatics AIDT. This study drafted an initial evaluation rubric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Subsequently, Focus Group Interviews (FGIs) and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FGIs with six information education expert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thematic assessment. Additional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for the curriculum domain and the need for an aesthetic domain were proposed. Reflecting on the FGI analysis results, the initial rubric draft was amended, and a Delphi survey of 21 experts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new rubric's content validity and clarity. The Delphi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CVR values ranged from 0.81 to 1.00, exceeding the criterion value of 0.42, thereby confirming the rubric's validity. Furthermore, reliability verification of the Delphi questionnaire revealed a Cronbach's alpha value of 0.948, confirming the high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urvey items. Consequently, a rubric consisting of five domains— Curriculum Alignment, Student Learning Support, Teacher Instructional Support, General Support Functions, and Usability and Aesthetics—along with 32 items was finalized as a comprehensive evaluation standard. Notably, this study establishes a curriculum-based evaluation system for elementary informatics AIDT that can be utilized as a practical reference for school settings, teacher use, and AIDT development in the future.
Key Words : Computer Education,Information Education,AI Digital Textbook,Elementary Education,Evaluation Rubric,Curriculum-based Evaluation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