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_cover_img
지능정보융합과 미래교육 Intelligent Information Convergence and Future Education eISSN: 2951-4762

Acronym : IICFE
Frequency : Continuous Publication
Doi Prefix : 10.59482/iicfe.
Year of Launching : 2022
Publisher : Intelligent Softwar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As a research center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Korea, Jeju National University's Institute of Intelligent Software Education is committed to building an educational foundation for fost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nvergence talent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The institute is building a foundation for AI education to cultivate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s a digital competency required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researching AI education for computer non-majors and majors at the lifelong education level from infants to middle-aged adults, researching AI education for the information-deprived class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along with AI ethics research that emphasizes the positive functions of AI and minimizes its negative functions, researching AI convergence technology to solve creative and new problems by looking at trends in the field of AI.In order to systematically study the major research areas listed above and to specifically realize the purpose of the institute, we are publishing a journal under the theme of 「Intelligent Information Convergence and Future Education」.We aim to publish research that seeks to pursue more effective problem-solving methods by integrat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ed on computer science and intelligent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and research on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for future education,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foster future human resources to lead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we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al research.We look forward to receiving submissions from all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우리나라 인공지능교육의 연구거점, 제주대학교 지능소프트웨어교육연구소는 지능정보사회의 인공지능(AI)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기반 구축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본 연구소는 지능정보사회에서 갖춰야 할 디지털 소양으로써의 컴퓨팅 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한 인공지능교육 기반 구축, 유아부터 중장년층까지 평생교육 차원의 컴퓨터 비전공자 및 전공자를 위한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연구,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배려계층 대상 인공지능교육 연구, 지능정보기술의 순기능을 강조함과 동시에 역기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윤리 연구 등과 함께, 인공지능 분야의 동향을 살펴 창의적이고 새로운 문제해결을 위해 인공지능 융합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이에 본 연구소는 앞서 제시한 주요 연구 분야를 체계적으로 연구함과 동시에 연구소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고자 「지능정보융합과 미래교육」을 주제로 학술지를 발간합니다.컴퓨터과학을 중심으로 하는 지능정보기술과 다양한 분야에 지능정보를 융합하여보다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추구하고자 하는 연구, 지능정보사회를 이끌어갈 미래 인재양성을 위해 인공지능을 포함한 정보·컴퓨터교육과 미래교육을 위한 융·복합 교육 관련 연구를 게재하고 교육 연구의 질적인 향상을 이루고자 합니다.관련 분야에 계신 모든 연구자 분들의 많은 투고를 부탁드립니다.

KCI 후보
2024년 1월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KCI IF
KCI Impact Factor
Intelligent Information Convergence and Future Education Vol.1 No.2 pp.7-18
통합 상담모형에 기반한 대학생 도박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Gambling Addiction Preven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Combined Counseling Model
장정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강사
Export Citatio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 상담모형에 기반한 대학생 도박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은 통합 상담모형의 주요 전략을 바탕으로 내용이 선정ㆍ조직되었으며, 회기별 90분씩 총 9회기로 구성되었다. J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 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하였다. 참가 희망 의사를 표현한 대학생을 사전 면담하여, 도박중독 잠재적 위험군(K-CPGI 검 사 결과 3-7점)에 해당하는 최종 12명의 대학생을 선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은 도박문제 인식 척도, 도박욕구 척도, 도박통제 자기효능감 척도, 변화단계 척도를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학생들의 도박문제 인식과 도박통제 자기효능감은 향상되었고 도박욕구는 감소했으며, 변화단계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상별, 도박중독 수준별 도박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도박중독 수준을 고려하고 변화단계에 맞는 개입의 필요성을 밝히고, 통합 상담모형을 적용하여 그 방법을 모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키워드 : 도박중독,통합상담 모형,동기강화상담,대학생,프로그램 개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ambling addiction preven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combined counseling model.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major strategies of the combined counseling model and was comprised of a total of 9 sessions, each lasting 90 minutes. we recruited college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J College located at J City fo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e interviewed college students in advance who expressed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finally selected 12 college students corresponding to potential risk group for gambling addiction(who earned 3-7 points on K-CPGI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alidat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based on gambling problem awareness scale, K-GUS(Korean version of the Gambling Urge Scale), gambling control self-efficiency scale, and K-URICA-G. Based on results of the research,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improve gambling related cognition and self-efficacy to control gambling among college students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Moreover, gambling urge decreased, and stages of change increa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methods for gambling addiction prevention by examining the level of gambling addiction, looking into the need for intervention suited for stages of change, and applying the combined counseling model despite the limited availability of gambling addiction prevention programs designed for each target and gambling addition level.
Key Words : Gambling Addiction,Combined Counseling Model,Motivational Interviewing,College Students,Program Development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