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_cover_img
지능정보융합과 미래교육 Intelligent Information Convergence and Future Education eISSN: 2951-4762

Acronym : IICFE
Frequency : Continuous Publication
Doi Prefix : 10.59482/iicfe.
Year of Launching : 2022
Publisher : Intelligent Softwar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As a research center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Korea, Jeju National University's Institute of Intelligent Software Education is committed to building an educational foundation for fost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nvergence talent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The institute is building a foundation for AI education to cultivate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s a digital competency required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researching AI education for computer non-majors and majors at the lifelong education level from infants to middle-aged adults, researching AI education for the information-deprived class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along with AI ethics research that emphasizes the positive functions of AI and minimizes its negative functions, researching AI convergence technology to solve creative and new problems by looking at trends in the field of AI.In order to systematically study the major research areas listed above and to specifically realize the purpose of the institute, we are publishing a journal under the theme of 「Intelligent Information Convergence and Future Education」.We aim to publish research that seeks to pursue more effective problem-solving methods by integrat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ed on computer science and intelligent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and research on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for future education,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foster future human resources to lead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we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al research.We look forward to receiving submissions from all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우리나라 인공지능교육의 연구거점, 제주대학교 지능소프트웨어교육연구소는 지능정보사회의 인공지능(AI)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기반 구축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본 연구소는 지능정보사회에서 갖춰야 할 디지털 소양으로써의 컴퓨팅 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한 인공지능교육 기반 구축, 유아부터 중장년층까지 평생교육 차원의 컴퓨터 비전공자 및 전공자를 위한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연구,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배려계층 대상 인공지능교육 연구, 지능정보기술의 순기능을 강조함과 동시에 역기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윤리 연구 등과 함께, 인공지능 분야의 동향을 살펴 창의적이고 새로운 문제해결을 위해 인공지능 융합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이에 본 연구소는 앞서 제시한 주요 연구 분야를 체계적으로 연구함과 동시에 연구소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고자 「지능정보융합과 미래교육」을 주제로 학술지를 발간합니다.컴퓨터과학을 중심으로 하는 지능정보기술과 다양한 분야에 지능정보를 융합하여보다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추구하고자 하는 연구, 지능정보사회를 이끌어갈 미래 인재양성을 위해 인공지능을 포함한 정보·컴퓨터교육과 미래교육을 위한 융·복합 교육 관련 연구를 게재하고 교육 연구의 질적인 향상을 이루고자 합니다.관련 분야에 계신 모든 연구자 분들의 많은 투고를 부탁드립니다.

KCI 후보
2024년 1월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KCI IF
KCI Impact Factor
Intelligent Information Convergence and Future Education Vol.1 No.1 pp.45-57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초등학교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mprove Convergence Problem Solving Power
차수영 제주 서귀포초등학교 교사
조정원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교수, 지능소프트웨교육연구소 소장
Export Cit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한 24차시 분량의 초등학교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이다. 인공지능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관련 태도와 활용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Drake와 Burns의 융합교육 유형 중 다학문적 통합을 활용하여 관련 인공지능의 영역과 교과의 주제를 융합하였다. 융합한 교과는 음악, 미술, 영어, 도덕, 국어, 과학, 체육, 사회이며 엔트리를 활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AI교육에 관심이 있는 5, 6학년 초등교육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본 연구는 24차시의 교육 뒤에 양 적 평가로 융합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전·사후 검사로 실시하였다. 질적 평가로 학생들의 수업 성찰 일지와 주제별 융합프로젝트 산출 물 수행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학습자 실태 분석을 위한 사전 설문지와 교육 프로그램 이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분석 결과 학생들은 교육 프로그램 이후에 융합적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었고, 2번에 이루어진 수행평가에서도 첫 번째 산출물 평가보다 두 번째 산출물 평가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수업 만족도 조사 결과 및 성찰일지를 통해 교육프로그램 이후에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관심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키워드 : 인공지능 융합교육,엔트리,융합적 문제해결력,융합적 사고력,다학문적 통합,인공지능에 대한 교육
This study is an elementary school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f 24 hours, produc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convergence problem-solving abil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o improve relevant attitudes and application abilitie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mong Drake and Burns' convergence education types was used to converge relevant AI fields and subject subjects. The convergence subjects are music, art, English, morals, Korean, science, physic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and the educational program was conducted using entries.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on 20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education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AI education, conducted a convergence problem-solving ability test as a pre- and post-test as a quantitative evaluation after 24 hours of education. In addition, as a qualitative evaluation, the students' class reflection diaries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convergence project output by subject were conducted, and a pre-questionnaire for analyzing the learner's actual condition and a satisfaction survey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test analysis, the students' convergence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d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he second product evaluation result was higher than the first product evaluation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conducted in 2nd time. Finally,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through the results of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and the reflection journal
Key Words :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Entry program,Convergent problem-solving ability,Convergent thinking skills,Multidisciplinary integration,Educa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LIST
Export citation